본문 바로가기
꿀팁

주휴수당 조건 그리고 계산법 (2023년 기준)

by 정보mate 2023. 5. 27.
728x90
반응형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

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입니다. 시급을 계산을 하면서 주휴수당에 대한 궁금증도 가지게 되는데,

주휴수당 조건과 함께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휴수당은 일주일간 규정된 근무일자를 다 채운 근로자에게는 유급으로 휴일을 주는 것입니다.

근로기준법에 주휴수당 조건에 대해서 나와있습니다.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 계산법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 휴일에 대한 보장이 있어야 합니다. 

시간은 주 15시간 이상의 근로자가 해당됩니다. 주 14시간을 일하는 근로자는 해당이 되지 않고, 주 15시간은 일을 해야 유급휴가이기 때문에 쉬면서 돈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5인 미만 사업자도 주휴수당 조건이기 때문에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라면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으로는 "노동 OK" 사이트에서 자동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상단에 "자동계산" 클릭. 그리고 "주휴수당" 클릭합니다. 

들어가게 되시면, 주휴수당 계산법으로 쉽게 계산을 해주게 됩니다. 

시급 1만 원을 기준으로 했을 때, 1주 소정근로시간과 1일 소정 근로시간을 입력을 해주시고 계산하기를 눌러주시면 자동으로 계산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1.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 

"1일 소정근로시간 X 시급"으로해당이 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주 40시간,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에는 시급을 10,000원으로 계산하게 되면 1일 소정 근로시간(8시간) X 시급(10,000원) = 80,000원 

즉, 일주일에 유급휴가가 80,000원씩 1개월 기준으로 한다면, 320,000원이 나오게 됩니다. 

 

2.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

 

주휴수당 계산법

"(1주일간 총 근로시간 / 소정근로일 5일 ) X 시급 " 로 해당되게 됩니다.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라면 이렇게 계산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주 30시간 근로자가 시급 10,000원으로 계산하게 된다면 60,000원이 나오게 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

주휴수당 계산법

만약, 주휴수당을 지급을 하지 않는다면 사업장 관할 지방 고용노동청에 방문을 해서 신고를 하거나 인터넷을 통해서 진정 제기를 할 수 있습니다. 사업주가 지급 의무를 위반한 경우에는 2년 이하의 징역 혹은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같이보면 좋은글

 

 

2023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법, 실수령액 알아보기

최저임금을 얼마부터 기억을 하고 계신가요? 최저임금이 매년 올라가면서 현재 2023년에는 9,620원까지 올라오게 되었는데 오늘은 2023년 최저임금 계산법, 그리고 2024년 최저임금 예상 그리고 실

pilatesuk.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