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은 국민연금을 얼마나 납부를 했고, 어느 회사를 다녔고, 납부기간은 어떻게 되는지 일괄로 조회를 할 수 있는 기록을 이야기합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공식 홈페이지 접속
2. 내 연금 알아보기 클릭
3. 가입 및 납부내역 조회하기
4. 내 연금 납부내역 확인하기
1. 국민연금 공식 홈페이지 접속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하는 방법으로 먼저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내 연금 알아보기 클릭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우측 상단에 자주 찾는 서비스의 "내 연금 알아보기" 메뉴로 이동합니다. 메뉴가 안보이신다면, 좌측 상단에 전자민원 -> 개인 민원 -> 조회 -> 가입내역, 예상연금 -> 가입내역 조회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가입 및 납부내역 조회하기
내 연금 알아보기에서 "인증하고 내 연금 알아보기"의 "가입 납부내역 조회" 메뉴를 선택합니다. 이때 공인인증서나 휴대폰 본인 인증 후에 연금내역이 열람이 가능합니다.
4. 내 연금 납부내역 확인하기
연금 기록에서 내가 납부한 개월수, 총 납부 금액, 연체 내역, 일시금 지급, 반납금 내역 등 확인할 수 있고, 하단에 보시면 연금보험료 상세내역을 통해서 언제 납부를 했고, 얼마를 납부를 했는지 상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어느 회사에 다녔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 국민 국민연금 제도란?
국민연금제도는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해서 1988년 10일 이상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시행을 했으며, 95년도에는 농어촌 지역과 99년 도시지역 주민에게까지의 범위가 확대되어서 전 국민연금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고령화가 되면서 사회 속 노년층 소득 보장을 위해서 국가 보험성 제도이고, 소득이 있다면 의무적으로 가입을 해야 하고 자영업자는 20년도 경에는 강제 가입이 진행되었습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할 때 국가적으로도 연금 제도만으론 부족함을 느끼고 노령화 사회도 고려할 때는 연금 외 노년층 일자리 제도에 대해서도 신경을 쓰고 있는 추세입니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장마시기 기간 알아보기 (0) | 2023.06.23 |
---|---|
2023 부모급여 아동수당 총정리 (0) | 2023.05.29 |
주휴수당 조건 그리고 계산법 (2023년 기준) (0) | 2023.05.27 |
2023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법, 실수령액 알아보기 (0) | 2023.05.22 |
버닝올로지 디데이 내돈내산 솔직후기 (0) | 2023.04.17 |
댓글